지난 글까지는, TCP를 위한 사전지식을 위해서, stop and wait 프로토콜인 rdt(reliable data transmission)에 대해서 정리해봤다. 이번 글에서는 추가적으로 Go-Back-N 방식과 Selective repeat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.1. Go-Back-N 먼저, Go-Back-N 방식은, rdt 3.0에서 적용한 pipelining을 구현한 첫 번째 접근이다. 이를 sender 측면과 receiver 측면에서 알아보자.se-Sender Go-Back-N 방법에서는, multiple packet을 보내야되기 때문에, window라는 개념이 처음 등장했다. window는 다음 그림과 같이 생겼다. 패킷의 상태창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. 위 그림에 대해서 설명해보면,초록색:..